안동시 주력 신규추진 사업 대부분 반영
- 내륙지수산물유통센터 20억원, 안동대학교시설비 90억원
- 재래시장활성화 및 구시장 주차타워 예산도 22억원
![]() |
김광림 의원 |
김광림 의원은 “2011년 정부 예산안을 확인한 결과 전체 예산 11억원이 들어가는 천연색소산업화센터 2억4천만원(지방비 1억2천만원)ㆍ안동 한자마을 조성사업 6억원(지방비 3억ㆍ총사업비 200억원)ㆍ인라인롤러경기장 조성 23억원(지방비 11억5천만원ㆍ총사업비 50억원)이 반영되었다.”고 밝혔다.
2009년부터 시작된 경북문화콘텐츠지원센터(총사업비 194억원) 건립 사업도 한 때 ‘사업부진’ 을 이유로 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48억원(지방비 24억원)이 반영되어 계획대로 내년에 준공할 수 있게 되었다.
총예산 300억원 규모의 사업으로 작년에 4억원(지방비 2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시작된 내륙지수산물유통센터 건립 예산도 20억원(지방비 10억원)이 담겨 본격적인 공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 밖에도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중앙상점가 활성화 사업 12억6천만원(지방비 5억원)과 구시장 주차타워 설치비 9억3천만원(지방비 3억7천만원)이 반영되어 있으며, 전체 65억원의 사업비가 드는 단호샌드파크 4억8천만원(지방비 2억4천만)과 백조공원(총사업비 53억원) 4억원(지방비 2억원), 농산물유통센터 건립비 6억6천만원(지방비 3억3천만원)도 포함되어 있다.
안동대학교 시설사업비 90억원과 안동문화예술의전당 국비 보조금 33억원(전체 국비 지원금 185억원)도 편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전체 302억원 규모의 바이오벤처프라자 건립 예산도 58억원(지방비23억원)이 들어가 있는 것으로 최종 확인했다.
쓰레기 처리 문제로 골머리 앓아오던 안동시가 작년부터 애써온 순환형 매립지 정비사업 예산은 당초 환경부가 요구한 10억원을 훨씬 초과한 30억원으로 지방비 포함 60억원이 반영되었다. 안동하수처리장 고도처리시설 설치 예산도 48억원(지방비 포함 24억 여원)이 들어가 있다.
기타 4대강살리기 사업 관련 예산과 백신생산공장 예산 등도 확정되는 대로 확인해 발표할 계획이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