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청각 종부 허 은(許 銀)지사 임청각 10번째 독립유공자로 서훈
person 안동시
schedule 송고 : 2018-08-14 09:19
- 생졸년 ; 1907,01,03-1997,05,19
- 본 적 ; 경상북도 선산 구미
- 독립운동계역 ; 만주방면
- 훈 격 ; 애족장
허은 지사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국무령(대통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의 손부(孫婦)로 만주에서 어려운 여건에서도 국가 독립을 위해 노력한 공적이 인정되어 군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허은 지사는 한말 의병장 왕산 허위선생의 종질인 일창 허발과 영천이씨의 3남 1여 중 외동딸로 태어났다. 2세 때 왕산 선생의 순국으로 수난을 겪다가 여덟 살 때인 1915년에 부모를 따라 서간도로 망명했다. 17세에 석주 이상룡 선생의 손자인 이병화 선생과 결혼했다.
당시 시가는 서간도에서 석주 선생을 중심으로 경학사, 한족회, 신흥무관학교 한족회, 서로군정서 등 항일 투쟁을 위한 단체를 조직 운영하는데 앞장서고 있었다. 그래서 시가는 항상 독립운동가들의 회의 장소로 쓰였다. 그래서 김동삼 이청천 황학수 유림 등 우리 독립운동사에서 기리 빛나는 인물은 물론 만주를 거쳐 간 많은 독립투사의 의식주 해결에 허은 지사의 공이 숨겨 있다. 혁명동지인 시할아버지 이상룡. 시아버지 이준형. 남편 이병화 선생의 뒤에는 항상 허은 지사의 뒷바라지가 있었다.
허 지사는 해방 후에도 독립투쟁의 후유증은 남아 위로 4남 1여를 저세상으로 먼저 보내야 했고, 아들과 외동딸이 고아원에 보내지는 어려움을 감내 해야 했다. 그런 가운데서도 꿋꿋하게 생활고를 이겨가며 자녀와 손자손녀들을 돌보며 수없이 볼꼴을 보고도 무너지지 않고 임청각을 지켜냈다.
말년에 독립운동회고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의 바람소리가』 라는 수기를 출판하여 독립투쟁 때 의식주에 대한 생활사를 촘촘히 담아내어 그동안의 알지 못했던 독립운동 실생활들을 사실적으로 기록하고 있어 항일 운동사를 이해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안동문화지킴이 대표 김호태 010-3808-6036)
- 본 적 ; 경상북도 선산 구미
- 독립운동계역 ; 만주방면
- 훈 격 ; 애족장
허은 지사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국무령(대통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의 손부(孫婦)로 만주에서 어려운 여건에서도 국가 독립을 위해 노력한 공적이 인정되어 군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허은 지사는 한말 의병장 왕산 허위선생의 종질인 일창 허발과 영천이씨의 3남 1여 중 외동딸로 태어났다. 2세 때 왕산 선생의 순국으로 수난을 겪다가 여덟 살 때인 1915년에 부모를 따라 서간도로 망명했다. 17세에 석주 이상룡 선생의 손자인 이병화 선생과 결혼했다.
당시 시가는 서간도에서 석주 선생을 중심으로 경학사, 한족회, 신흥무관학교 한족회, 서로군정서 등 항일 투쟁을 위한 단체를 조직 운영하는데 앞장서고 있었다. 그래서 시가는 항상 독립운동가들의 회의 장소로 쓰였다. 그래서 김동삼 이청천 황학수 유림 등 우리 독립운동사에서 기리 빛나는 인물은 물론 만주를 거쳐 간 많은 독립투사의 의식주 해결에 허은 지사의 공이 숨겨 있다. 혁명동지인 시할아버지 이상룡. 시아버지 이준형. 남편 이병화 선생의 뒤에는 항상 허은 지사의 뒷바라지가 있었다.
허 지사는 해방 후에도 독립투쟁의 후유증은 남아 위로 4남 1여를 저세상으로 먼저 보내야 했고, 아들과 외동딸이 고아원에 보내지는 어려움을 감내 해야 했다. 그런 가운데서도 꿋꿋하게 생활고를 이겨가며 자녀와 손자손녀들을 돌보며 수없이 볼꼴을 보고도 무너지지 않고 임청각을 지켜냈다.
말년에 독립운동회고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의 바람소리가』 라는 수기를 출판하여 독립투쟁 때 의식주에 대한 생활사를 촘촘히 담아내어 그동안의 알지 못했던 독립운동 실생활들을 사실적으로 기록하고 있어 항일 운동사를 이해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안동문화지킴이 대표 김호태 010-3808-6036)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