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도 솔잎혹파리 천적 방사 실시
person 경북도청
schedule 송고 : 2010-05-25 15:18
천적방사로 항구적이고 친환경적인 자연방제 도모
경상북도 산림환경연구원(원장 박상호)에서는 솔잎혹파리의 항구적이고 친환경적인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솔잎혹파리 천적인 혹파리살이먹좀벌, 솔잎혹파리먹좀벌을 사육하여 안동, 상주, 영주, 울진에 600ha 1천2백만마리를 6월 하순까지 방사한다고 25일 밝혔다.
![]() |
![]() |
- 솔잎혹파리 유충 - - 솔잎혹파리먹좀벌 - |
솔잎혹파리는 1929년 전남 목포와 서울 비원에서 최초로 발견된 이래 현재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소나무재선충, 솔껍질깍지벌레와 함께 소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3대 산림병해충으로 복잡한 생활사로 완전방제가 어려운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산림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솔잎혹파리 천적인 혹파리살이먹좀벌, 솔잎혹파리먹좀벌은 솔잎혹파리의 알이나 유충 체내에 알을 낳아 기생하여 기주를 죽이는 생활사를 갖고 있으므로 천적방사를 통한 방제방법은 저탄소녹색성장에 걸맞은 항구적이고 친환경적인 생태적 방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