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유치 2주년, 신도시 조성 본격화

person 안동시청
schedule 송고 : 2010-06-03 09:27
2014년 도청이전, 2027년 신도시 완성
2008년 6월 8일, 경상북도 신 도청 소재지로 안동시와 예천군 일원이 결정됐다. 그 동안 경상북도에서는 도청이전 신도시 조성을 위한 절차를 착실히 진행해 왔지만 보상 등 가시적인 행보가 없자 도청이전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그러나 최근 경상북도 개발공사를 사업시행자로 선정하고 이어 개발예정지역을 고시함으로써 사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경상북도에서는 2014년 6월 도청 이전, 2027년 인구 10만의 신도시 완성까지 차질 없이 일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한다.

앞으로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원 10.965㎢ 규모에 신도시 조성 사업비는 2조 5천 억 원 규모이다. 도청과 도의회 신청사는 현재 도청이전 신청사 건립 아이디어 공모를 마친 상태로 부지 28만 8천㎡, 건물면적은 12만 5천㎡ 규모로서 2014년 6월에 입주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그간의 준비 과정
경상북도에서는 도청이전을 위한 추진단과 도청이전 신도시건설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이전작업을 실행하고 있고 안동과 예천에도 각각 도청이전 지원단을 설치하여 지원업무를 추진하는 등 조직을 가동해 오고 있다.

이와 함께 도 청사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 문화재 지표조사 용역, 신도시 기본계획 용역 등 사업시행을 위한 기본적인 절차들을 차질 없이 진행해 왔다.

그리고 2010년 4월 29일 마침내 사업시행자를 경상북도 개발공사로 지정하고 5월 4일 개발예정지구를 고시함으로써 신도시 조성을 위한 구체적이고 본격적인 사업이 지금부터 시작되는 셈이다.

앞으로의 추진일정


현재 사업시행자인 경상북도 개발공사에서는 26명의 인원으로 보상 등 사업추진을 위한 조직을 가동하고 보상 물건 조사를 위한 준비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다음달 6월부터는 보상 팀이 현지에 상주하며 물건 조사를 실시하여 올해 10월경부터는 본격적으로 보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내년 상반기까지 보상을 완료하고 5월경에 공사를 착공할 계획이다.

경상북도에서는 어떤 일이 있더라도 2014년 6월까지는 도청과 도의회 청사 신축을 완료하고 개청식을 가진다는 목표로 도청이전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도청이전, 경북과 안동의 미래

조선시대에는 경상북도의 남부지역을 관할하는 대구부와 동북부지역을 관할했던 안동부가 1896년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대구가 경북도청 소재지로 결정되고 발전을 거듭하여 특별광역시로 번창하면서 115년 뒤인 현재는 대구와 안동의 도시 규모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격차가 커졌다.

이러한 사실에 비춰 볼 때 도청 이전으로 인해 경상북도와 안동, 그리고 경북북부지역은 폭발적인 변화와 번영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대구와 구미, 포항 등 남부지역에 편중된 경북권역의 발전 축에 북부지역인 안동이 추가되면서 대구와 경북이 새로운 4각 축을 중심으로 발전해 나가게 된다. 경북도청과 유관기관 이전은 안동과 예천을 경북의 새로운 정치, 행정의 중심도시로 변모시키고 안동의 성장 동력인 바이오산업과 문화산업도 시너지 효과를 받게 된다.

신도시 건설로 많은 인구가 유입되고 연담도시화를 통해 기존도심과 신도심이 조화 있게 발전하게 되며 대학을 비롯한 우수한 교육기관 유치로 교육도시의 명성을 회복하게 된다.

특히 동서 5ㆍ6축 고속도로 건설과 중앙선 복선 전철화가 이루어지면 도내 모든 지역에서 도청소재지까지 1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로교통 여건이 개선되어 안동은 남부지역의 도시와 서울을 잇는 새로운 교통 요충지로 변모하게 된다.

도청유치 2주년 맞아 기념행사도 계획
한편 안동시에서는 도청유치 열망이 뜨거웠던 시민들을 격려하고 앞으로도 신도청소재지 개발에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당부하면서 경상북도의 미래 천년 도읍지 결정 2주년을 맞아 기념행사를 벌인다.

▲6월 7일부터 13일까지는 안동시민회관 전시실에서 도청이전지 사진전을 개최하고 ▲6월 8일 저녁 7시에는 안동시민회관 대공연장에서 기념 음악회를 ▲6월 12일 오전 10시부터는 도청이전지 주산인 검무산 등반대회를 갖는다.

안동시는 이러한 기념행사를 통해 그동안 낙후되었던 안동과 북부지역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고 나아가 국토 균형발전을 함께 이뤄내기 위하여 다시 한번 시민들의 뜻과 역량을 한데 모아 나간다는 계획이다.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회"의 다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