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17,488건)

구제역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구제역(FMD:Foot-and-Mouth-Disease)은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과 같이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급성 가축전염병으로 인수공통전염병은 아니다. 병원체는 구제역 바이러스이나 섭씨 50℃이상의 온도에서 파괴되고 강산이나 강알칼리(pH 6이하 또는 9이상) 조건에서 쉽게 사멸됨으로 소, 돼지 등 고기를 가열하여 요리할 경우 구제역 바이러스는 자연 파괴된다. 또한, 구제역은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니므로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다.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1933년 이후 우리나라 구제역
2010-12-03

구제역 확산방지, 안동시 전행정력 동원
지난 29일 경북 안동 지역에 구제역이 발생돼 나흘 만에 모두 5곳으로 구제역이 추가 발생한 가운데 안동시의 전 공무원이 29일부터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해 매몰 작업 및 방역초소 근무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안동시는 구제역 확정 첫 날 29일 가축방역대책본부를 설치하고 본부장을 부시장에서 시장으로 격상시킨 후 9개반 41명이 종합상황을 유지관리하고 있으며, 첫 발생지인 와룡면 서현리 양돈단지를 시작으로 지난 29일부터 현재까지 4개조 316명이 연일 매몰 작업에 동원되고 있다.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한 초소근무에도 여직원을 포함해
2010-12-03

경상북도장애인재활협회, 2010년 재활의 밤
사)경상북도장애인재활협회(회장 장하숙)는 연말연시를 맞아 지역사회 내 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 자원봉사, 후원자 및 결혼가정의 가족, 장애인복지에 관심 있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3일 오후 3시 30분부터 안동학가산온천 3층 회의실에서 [2010년 재활의 밤]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장애인, 후원자 자원봉사자 등 지역사회의 모범이 되는 단체 및 개인에 대한 표창과 감사패 전달, 재활수기 공모 당선자 포상, 1%재활정보찾기대회 입상자 포상, 보장구 지원, 재활수기 사례발표 순으로 진행됐다.
2010-12-02

KBS특집다큐멘터리로 다시 태어나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3년 연속 대한민국 대표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열흘간 이 축제를 즐기기 위해 다녀간 관람객은 103만명, 지역경제 파급효과인 생산유발효과가 3천4백4십3만원에 이르는 대규모 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이제 명실상부한 한국을 대표하는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이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이끌어 가는 힘과 매력은 과연 어디에 있을까? 2010년 12월 3일 저녁 7시 30분 KBS1에서 방송되는 ‘하회탈, 축제를 만나다,’는 ‘하회별신굿탈놀이’라는 안동의 전통을 축제화하여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동력이 과연 어디에
2010-12-02

안동대, 교직원들 월급 십시일반 모아 장학금 전달
국립 안동대학교(총장 이희재) 교수와 직원들이 월급의 일부를 십시일반 모아 제자사랑을 위한 장학금을 만들어 훈훈함을 전해주고 있다. 안동대학교의 교수와 직원들은 지난 수년전부터 ‘교직원장학기금’을 적립하고 있었는데, 그동안 월급에서 원천징수하여 모금한 적립액은 2010년 현재 총 8천여만 원이며 매월 250여만 원 씩, 매년 3천여 만 원의 기금이 적립되고 있다. 이번에 그 일부를 가정형편이 넉넉하지 못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직원장학금”을 올해 처음으로 지급한다. 지급액은 총 29명에게 14,500,000만 원으로, 학생 1인당
2010-12-01

남부지방산림청 국유림경영 10년계획 주민설명회
남부지방산림청은 2011년부터 10년간 시행할 국유림경영 수립을 위하여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하여 2010. 11. 30. 영주국유림관리소 회의실에서 주민 설명회를 가졌다. 이번에 수립하는 산림경영계획은 영주시 및 예천군 관내 국유림 15,390ha “풍기국유림경영계획구”에 대한 앞으로 10년간의 사업으로, 주민 설명회를 통해 이해당사자들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최종(안)을 마련하게 된다. 풍기국유림경영계획구는 소백산국립공원 및 백두대간 마루금이 지나가는 지역으로 자연환경보존림이 92%를 차지하고 있어, 목재생산을 위
2010-12-01

경상북도,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한 다양한 대책 추진
2010. 11. 27일 안동시 양돈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2010. 11. 30일 오후 경상북도에서 구제역방역 상황실에서 김관용 도지사 주재로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한 긴급 가축방역 협의회를 개최하고 구제역 도내 확산 방지하기 위하여 철저한 소독 및 예찰활동 등 대책마련에 만전의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이 자리에서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구제역 차단방역에 수고하는 가축방역협의회 위원(15명), 지역 군부대, 경북지방경찰청 관계자 등의 노고를 치하하고 우리 도내 구제역 발생에 대한 유감의 뜻과 불안해 하고 있는 축
2010-12-01

신도청 시대 주민연합(가칭) 결성 및 기자회견
안동지역의 주민연합을 결성한다. 주민연합에는 공동대표(이희재 안동대 총장, 안동 원불교 국지훈교무 , 안동교회 김승학목사, 불교 사암회 고문 정우 스님, 안동 상공회의소 남재일 회장, 청년유도회 중앙회 이동수회장, 예안향교 박원갑전교, 안동대 남치호 석좌교수, 안동의료원 신현수 원장, 정창근 이비인후과 정창근 원장) 최윤환 수석간사와 분과 위원장(박인호 가톨릭 상지대 교수, 권성규 규보의료기 사장, 이중규 전국 이통장협의회 회장, 김명호, 이영식 도의원, 박원호 김대일 시의원, 장대진 전도의원, 권영법 변호사, 송주미 대표 , 최희
2010-12-01

을미 의병장 척암 김도화 선생 ‘니산정’ 해체 수리 공사 착공식
구한말 초기 의병활동을 주도하고 을미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척암 김도화 선생의 유일한 유적인 ‘니산정’을 해체 수리할 예정이다. 실제 척암 선생이 제자들을 가르치고 의병활동을 논의했던 니산정은 그동안 문화재로 지정는 물론 제대로 관리비 조차 되지 않아 쓰러질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번에 종손 김동호씨를 비롯한 문중이 힘을 합치고 안동시와 안동문화지킴이의 후원으로 해체 수리 공사를 하게 되었다. 김도화 (金道和 : 1825生 ~ 1912卒) 선생의 자는 달민(達民), 호는 척암(拓庵), 본관은 의성(義城).구와(龜窩) 김굉의 증손이며
2010-12-01

Happy Korea! 살맛나는 공동체운동 '사랑과 나눔의 김장 담가주기'
안동시새마을회(회장 권기수)에서는 Happy Korea! 살맛나는 공동체운동 사랑과 나눔의 김장 담가주기 사업을 전개한다. 나라경제의 장기불황으로 기초생활조차 어려운 가정이 점차 늘고 있으며 배추 값 폭등으로 인해 도움의 손길이 절실한 소외된 이웃에게 나눔을 통한 계층 간 사회통합에 기여하여 선진 일류국가 건설에 이바지 하고자 하는 「사랑과 나눔의 김장담가주기 운동」은 SMU 뉴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매년 연말 안동시새마을회의 주최로 전개되고 있다. 안동시새마을부녀회(회장 신정숙)에서는 11/27 ~ 11/30까지 24개읍면동 새마을
2010-12-01